요리/반찬

소세지감자조림, 안 먹던 감자 반찬을 싹 비웠어요!

살림하는 초코송이 2025. 4. 26. 01:11
반응형

우리 아이들은 평소에 감자볶음은 정말 잘 먹거든요?? 그런데 유독 감자조림은 감자볶음만큼은 손이 잘 안 가더라고요ㅠㅠ?!

먹긴 먹는데 그냥 어쩔 수 없이 먹는 느낌?? 그래서 이번엔 소세지감자조림을 해보면 어떨까 싶더라고요.

마침 냉장고에 제가 먹으려고 사뒀던..ㅋㅋ 소세지가 있어서 바로 만들어주었습니다.

 

소세지를 그냥 쓰기보다 뜨거운 물에 한 번 데쳐주는 과정을 넣었는데요, 요건 꼭 알려드리고 싶어요!

소세지를 데치면 겉면의 기름이나 나트륨, 첨가물 일부가 빠져서 조금 더 건강하게 즐길 수 있어요.

식감은 그대로 살아있고, 특히 아이 반찬 만들 땐 이렇게 한 번 데쳐서 줍니다. (이날은 냄비 쓰기 귀찮아서 뜨거운 물 부었어요..ㅋ)

 

그럼 저희 집 소세지감자조림 만드는 방법, 간단히 정리해 드릴게요.

소세지감자조림 레시피
재료 : 감자, 양파, 소세지
양념 : 간장, 굴소스, 설탕, 다진 마늘, 맛술, 물엿

여기서 저는 큰 감자 1개와 소세지 15개 정도를 사용했습니다. 

 

소세지감자조림 만드는 방법

 

1. 감자는 깍두기처럼 썰어준 뒤 찬물에 담가 10분 이상 전분기를 빼주세요.

 

 

 

2. 팬에 기름을 두르고 중불에서 전분기 뺀 감자를 먼저 볶아주세요.

 

 

 

3. 감자가 어느 정도 투명하게 볶아지면 소세지 (한 번 데쳐놓은 것)와 양파를 함께 넣고 볶아주세요.

 

 

 

4. 양파가 투명해졌다면 양념장을 넣어준 후 골고루 섞이도록 뒤적여주세요.

(양념장 : 간장 3스푼, 굴소스 1스푼, 맛술 1스푼, 물엿 2스푼, 설탕 1/2스푼, 종이컵 기준 물 반 컵)

 

 

 

5. 불은 약불로 줄이고 뚜껑을 덮은 채 조려주세요.

달라붙을지도 모르니 한 번씩 뒤적뒤적하며 봐주세요~

 

 

 

6. 기호에 따라 마지막에 송송 썬 파를 넣어 볶아주셔도 됩니다. (저희 아이들은 골라낼 정도로 싫어해서 생략했어요)

7.  알맞게 졸여졌다면 불을 끄고 참기름 1스푼과 깨 톡톡 뿌려 마무리해 줍니다.

 

 

 

소세지의 짭짤함과 양파의 자연스러운 단맛이 감자와 잘 어우러져서 진짜 소세지감자조림 하나로 밥을 두 공기 뚝 딱!! 하게 만들더라고요~ 제가 먹어도 전혀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감칠맛이 있어 계속 손이 가는 반찬이었습니다. 

 

사실 아이 반찬 고민할 때 "이걸 과연 먹을까?" 싶었던 감자조림이었는데, 소세지 하나 더했을 뿐인데

이렇게까지 잘 먹을 줄은 몰랐네요^^ 흔한 감자조림이지만 재료 하나 추가로 아이들 반응이 달라졌어요~

다음 날에도 아이들이 또 달라고 했으니, 그야말로 성공입니다!!

 

감자조림이라는 이름은 똑같지만, 한 끗 차이로 아이 입맛에 딱 맞는 레시피가 될 수 있어요!!

몸에 좋지 않고 첨가물이 많다 보니 소세지 잘 안 먹이는데...

제가 만든 반찬들 잘 안 먹으면 가끔 이런 조림 요리 등 아이 반찬 할 때 넣어서 만들어줘야겠어요^^

왜냐면, 맛있으니 아이들이 안에 들어간 양파까지 달달한 맛에 아주 싹싹 먹습니다!! (뿌듯)

 


 

아이들용 감자요리 ▼

 

간장 감자조림 쫀득쫀득하게 실패없는 나만의 비법

저는 요리를 배우지 않았고 결혼을 하면서 남편, 아이들에게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주기 위해 인터넷으로 보고 배웠는데요. 몇 년을 해 먹이다보니 저만의 방법이 생기더라고요~ 요리는 정해진

s2house.tistory.com

 

감자볶음 만드는법 (집에 감자만 있어도 가능ok)

신혼 초에 감자볶음할 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거든요? 별거 아닌 거 같아 보이는 요리가 왜 이렇게 어려운지... 엄마가 알려준 방법을 써봐도 인터넷에 나와있는 방법을 써봐도 생각만큼 맛도

s2house.tistory.com

 

감자계란국, 바쁜 아침 간단하고 맛있게 만들기!

아이들을 키우다 보면 아침이나 저녁, 아이가 좋아하고 잘 먹는 음식은 늘 고민하게 되죠. 오늘의 재료 계란과 감자는 아이들 영양에 좋고, 쉽게 요리할 수 있어 자주 사용하는 식재료입니다.

s2house.tistory.com

 

반응형